마비노기 모바일 M 캐시 환불 방법

마비노기 모바일 M 캐시 환불 방법

- 현재로서는 없다.

한국 게임 이용자 협회 변호사 이철우.
그는 질의서를 통해 이렇게 전했다.

실질적 현금성 재화를 게임 속 재화로 간주.
소비자 보호 의무를 회피하는 중이다.

마비노기 모바일이 소비자 환불을 차단한 이중 재화.
이런 구조로 논란이 일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과거 공정위가 넥슨의 메이플스토리 확률 조작 논란.
이에 지난해 1월 국내 게임 산업 역사상 가장 높은 과징금.

116억 원을 부과한지 1년 만에 일어난 일이다.

게임 업계에 따르면 이렇다.

게임 이용자 협회는 지난 4월 15일.
마비노기 모바일 이용객 의견 114개를 바탕.

마비노기 모바일 관련 질의서를 전달했다.
이 질의서엔 아이템 구매에 쓰이는 M 캐시.
이것이 환불 회피를 위해 설계가 된 구조라고 전했다.

해당 논란의 핵심은 앞서 언급한 M 캐시 방식.
게임 속에서 살 수 있는 유료 물품 대부분.
이것이 M 캐시를 우선으로 사고 나서 이걸 통해 아이템을 사야 한다.

해당 문제는 M 캐시로 아이템을 살 경우.
청약철회가 불가능하단 점이다.

예로 네이버, 카카오, 페이코 등에서 현금을 각사의 캐시.
이것으로 전환하고 나서 이것으로 전자제품을 산다고 치자.

이건 7일 이내 언제든 청약 철회가 가능하다.

소비자는 1차적으로 쓴 캐시 환급을 받을 수 있다.
각 회사는 캐시를 다시 고객 계좌에 입금할 수 있게 조치한다.

하지만 마비노기 모바일의 경우.
동일한 상황에서 환불이 불가능하다.

현금으로 산 M 캐시.
이것이 게임 속 아이템 구매로 소멸, 멸실 됐단 이유다.

넥슨 측에서 환불 거부를 한 이유.
이건 제27조 2항.

회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물품 등 유료 내용이 멸실.
또는 훼손이 된 경우.
넥슨 의사에 반해서 청약 철회를 진행할 수 없다.
즉 소비자가 산 건 M 캐시.
이게 게임 속 아이템을 사는 과정에 지불.
멸실, 훼손이 됐단 논리다.

다만 이런 약관 적용은 현금 - M 캐시 - 아이템.
총 2단계 결제를 통해 환불을 회피하려는 장치로 쓰였단 지적이 나온다.

한편 M 코인으로만 살 수 있는 상품.
이것이 있는데 환불 조건 고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전자상 거래법 제17조에 따르면 이렇다.

소비자는 물건, 내용을 사고 나서 7일 이내 청약 철회가 가능하다.
이런 것을 제한할 경우 예외 사유를 꼭 사전 고지해야 한다.

마비노기 모바일의 경우.
저런 게 안내돼 있지 않았다.

공정위는 앞서 지난번 넥슨의 청약 철회 거부.
이것에 시정 조치를 내린 적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청약 철회의 제한.
이것은 전자상 거래법에서 정한 사유 외 약관으로 소비자에게 불리한 내용.
이것을 정하면 그 약관 조항은 무효가 된다.

전자상 거래법 제17조, 제35조.

게임사 목록

- 블리자드, 라이엇 게임즈, 넥슨, 스마일 게이트, 펍지, 네오플 등이다.

다 시정 조치가 내려졌다.

공정위가 지적한 사항.
이것엔 일부 쓰인 캐시 등에 대한 청약 철회 제한이 포함돼 있다.

마비노기 모바일 M 캐시 환불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