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스토리 유저 고소 사건
메이플 스토리 유저 고소 사건
메이플 스토리 이용자들이 넥슨을 대상으로 민사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까지 500명 가량이 모였다.
피해 금액은 25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손해 배상금 청구 금액은 10% 정도에 해당하는 2.5억 원이다.
게임 소송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전해진다.
오는 3월 3일까지 추가적으로 동참할 이들을 모을 예정이라서 규모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9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이렇다.
메이플 스토리 이용자 측은 수원 지방법원 성남지원에서 소장을 제출했다.
넥슨 측이 메이플 스토리에 판매한 확률형 아이템 큐브의 확률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소비자 기만이란 것이다.
이번 집단 소송은 지난 1월 3일 공정거래 위원회 측이 넥슨에 전자상 거래법을 위반했다고 하면서 과징금 116억 원을 부과하면서 촉발된 사태다.
당일 제출한 소장에 따르면 이렇다.
채무 불이행에 의한 손해배상청구와 사기, 기망 행위로 인한 매매 계약 취소와 전자상 거래법 위반 등이 이번 소송의 핵심이다.
소송 대리인 이철우 변호사는 이렇게 밝혔다.
"넥슨이 변동된 확률을 고지하지 않은 것을 기만행위로 본다.
전자상 거래 위반이라고 판단한 게 이번 손해배상 청구 근거다.
약관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에 대한 채무 불이행 책임 배상도 있다."
공정위에 신고하고 나서 넥슨과 민사 소송 중인 김 씨도 동참한다.
진행 중인 소송, 집단 소송이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공정위 조사 결과 기 소송에서 포함 안 된 부분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이번에 1차로 소장을 제출한 500명 중엔 없다.
대신 2차 명단에 올라가 있었다.
추가적으로 소송에 동참할 이용자를 이용자를 3월 3일까지 받는다.
모집 조건은 지난 2014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확률형 아이템인 큐브를 산 이용자 한에서다.
집단 소송 대리인 변호사 이 씨는 조사 결과가 재판에 영향에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확률이 균등하지 않고 인기 옵션을 뽑을 수 없다는 심증이었던 게 공정위 조사로 밝혀졌다.
이번 소송이 공정위 측이 이용자에게 제대로 알리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했어야 한다고 지적한 부분과 같아서 그렇다.
메이플 스토리 측은 지난 2021년 3월 확률형 아이템 논란 때 보보보 등이 누락됐다고 인정했다.
모니터링 시스템 넥슨 나우 등을 재방 방지책으로 도입했다.
공정위 판단 이후에 문제가 된 확률형 아이템인 큐브를 인 게임 재화 메소로 살 수 있도록 해서 조치했다.
"게임을 하며 메소를 수급할 수 있지만 이걸 현금으로 살 수 있어서 완전히 무료화라고 볼 수도 없다.
긍정적인 점은 게임사가 눈에 보이는 수익을 포기하고 메소로 살 수 있게 시스템을 개편했다는 것이다.
준비 과정에 게임을 계속하고 싶단 질문을 가장 많이 받았다.
게임을 계속하는 것과 과거 잘못을 지적하는 건 다른 문제다.
넥슨이 일정 부분 배상을 전제로 게임을 개선하다고 약속하면 합의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아직 그런 시도는 이뤄지지 않았다."
메이플 스토리 유저 고소 사건